楓嶽贈小菴老僧/李珥
余之游楓嶽也。나는 가을에 금강산을 유람하였는데
一日獨步深洞中。하루는 혼자 깊은 계곡을
數里許得一小菴。수 리(里)나 들어가니 조그만 암자가 보였다.
有老僧被袈裟正坐。가사를 입은 노승 한분이 정좌를 하고 앉아 있었다.
見我不起。노승은 나를 보고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亦無一語。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周視菴中。암자를 둘러보았으나
了無他物。먹을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고
廚不炊爨。주방은 취사를 한 흔적이 여러 날 되어 보였다.
亦有日矣。余問曰。在此何爲。선생께서 거듭하여 여기서 무엇을 하는가 하고 물었으나
僧笑而不答。노승은 그저 웃을 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又問食何物以療飢。하여 또 묻기를 배가 고프면 무엇으로 요기를 하느냐 물었더니,
僧指松曰。此我糧也。노승은 소나무를 가리키며 저것이 식량이라 한다.
余欲試其辯。이에 논변을 좀 해보자 하는 욕심으로
問曰。孔子釋迦孰爲聖人。공자와 석가 중 어느 분이 성인입니까? 하고 물었다.
僧曰。措大莫瞞老僧。노승이 답하기를 ‘선비는 나를 기만하지 마시오.’ 라고 하였다.
余曰。浮屠是夷狄之敎。不可施於中國。이에 내가 말하기를 대저 부처라는 것은 중국에서 나온바가 아니고 오랑캐의 가르침이 아닙니까하고 말하였더니
僧曰。舜。東夷之人也。文王。西夷之人也。此亦夷狄耶。노승이 말하기를 순(舜)은 동이족(東夷族)이고, 문왕(文王)역시 서이족(西夷族)출신이니 이 역시 오랑캐가 아닌가? 하였다.
余曰。佛家妙處。不出吾儒。何必棄儒求釋乎。하여 선생이 또 말하기를 불가에 비록 오묘한 진리가 있다하나 출가하는 바 있으니 유학을 버리고 하필이면 불가를 선택한 연유가 있는가?
僧曰。儒家亦有卽心卽佛之語乎。노승이 말하기를 유학에도 즉심즉불 (卽心卽佛)이라는 말이 있는가?
余曰。孟子道性善。내가 말하길 맹자의 성선의 도와
言必稱堯舜。요순의 도가
何異於卽心卽佛。바로 즉심즉불을 말하는 바이고
但吾儒見得實。僧不肯。다만 유가에서는 그 도가 실질적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야만 하는 것이라 했다.
良久乃曰。노승은 수긍치 않고 한참이 지난 후 말하기를
非色非空。何等語也。하면 불가의 비색비공(非色非空)은 어떤 등급의 말로 말할 수 있겠는가?
余曰。此亦前境也。내가 그것은 어떤 경계이전이라 말하자
僧哂之。노승은 지긋이 미소를 짓는 지라
余乃曰。鳶飛戾天。魚躍于淵。此則色耶空耶。내가 말하길 솔개가 하늘로 솟아오르고, 물고기가 연못에서 뛰는 바로 그이치가 공이요 색이라 하니
僧曰。非色非空。是眞如體也。豈此詩之足比。노승이 말하기를 비색비공(非色非空)은 진여체(眞如體)인데, 어찌 이런 시(詩)와 비교가 될 것인가 하였다.
余笑曰。旣有言說。便是境界。何謂體也。내가 웃으며 말하기를 무릇 경계(境界)를 말함도 말(言)로써 함인데 체(體)라고 무슨 다름이 있는가?
若然則儒家玅處。不可言傳。而佛氏之道。不在文字外也。하면 불가의 도라는 것도 그러면 문자 외에 전함이 있는가?
僧愕然執我手曰。노승이 깜짝 놀라며 선생의 손을 잡고서는 말하기를
子非俗儒也。그대는 속유(俗儒)가 아님이 분명하다며
爲我賦詩。以釋鳶魚之句。연어(鳶魚)의 글귀를 시로 적어 주기를 원하기로
余乃書一絶。아래의 한줄 시를 써주었다.
僧覽後收入袖中。노승은 시를 한번 읽고는 접어 소매 속에 넣고서는
轉身向壁。몸을 돌려 벽을 향해 돌아앉고,
余亦出洞。怳然不知其何如人也。나는 황연히 그 계곡을 빠져나온 터라 그 노승이 누구인지 알지를 못했다.
後三日再往。3일후 내가 다시 그곳을 찾았을 때는
則小菴依舊。작은 암자는 그곳에 여전한데
僧已去矣。노승은 이미 그 곳을 떠나고 없었다.
'옛날 이야기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마귀의 날개 빛 (2) | 2024.01.04 |
---|---|
연암 박지원과 저암 유한준 (3) | 2024.01.04 |
진묵 대사 시 한 수 (1) | 2024.01.04 |
서산대사 시 한 수 (0) | 2024.01.02 |
상촌(象村) 신흠(申欽) 시 감상 (1) | 2024.01.02 |